전체 글130 주5일제와 토요휴무일의 추억 83년생이니 초중고 모두 당연히 토요일에 등교했고 고3 때는 일요일도 오후까지는 자율적으로 나갔다. 주 5일제는 공무원에 먼저 적용되었는데 2004년 월 1회 휴무에서 7월에는 2회, 05년 7월부터 전면 도입된다. 왜 기억이 나냐면 05년 7월에 일병이었는데 이때부터 군인은 2, 4주 토요일을 쉬었기 때문이다. 그전까지는 오전 작업하고 점심 먹고 오후에는 전투체육을 했다. 오전에 일과가 있고 없고는 그래도 느낌이 많이 달랐다. 2011년에는 고등학교에서 근무했는데 놀토가 아직 있었고 토요일 등교하면 동아리활동을 대체로 했다. 2012년부터는 전면 5일 수업이 된다. 중학교 기준 5일만 나가면 방학이 상대적으로 짧고 토요일에 하는 수업이 없어져서 7교시 일과일이 존재해야 한다. 총 190일의 수업일수와 .. 2024. 11. 20. 흙운동장놀이 3: 제기차기 사실 제기차기는 공간 제약이 거의 없는 훌륭한 놀이이다. 제기가 여러 개일 필요도 없고 두 명만 돼도 어쨌든 놀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소 다를 수 있고 주로 하는 종목 역시 그럴 테지만 우리 동네에서 했었던 종목을 떠올려본다.제기는 문구점에서 저런 형태를 주로 판매한다. 금박 은박 같은 긴 술과 플라스틱 원형 마개. 미술시간에 한지와 고무줄로 직접 만들어보기도 했지만 실제 찼을 때 원하는 위치로 올리기 어려워 금방 치웠다. 이 문구점 제기의 좋은 점은 동전을 넣음으로써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너무 안 올라가거나 잘 올라갈 때 자신의 신발에 따라 동전 개수를 조절한다는 뜻.종목은 많이 차는 것과 드리기를 주로 했다. 말 그대로 땅에 떨어지기 전에 몇 개를 차냐인데 어떤 발이 땅.. 2024. 11. 19. 프로젝트A(1983) : 백 번은 본 영화 오늘은 중학교 때 보고 너무 재미있어서 아마 백 번은 보았을 프로젝트 A를 떠올려본다. 왜 백 번이냐면 당시 공테이프로 토요명화 녹화를 즐겨했는데 이 영화도 그렇게 녹화해서 동생이랑 주야장천 보았기 때문이다. 짐 캐리의 마스크도 그랬고 이연걸 영화도, 견자단의 정무문도 그렇게 녹화해서 보았었다. 제작진, 출연진 모두 어마어마했다. 어릴 땐 참 자주 나오는 한자네 하고 말았는데 감독 성룡에 제작 추문회, 제작사 골든하베스트이다. 주인공은 유일무이하게 성룡, 홍금보, 원표 모두 등장하였고, 이 영화 때문에 다른 원표의 영화도 찾아서 한 편인가 보았지만 재미가 너무 없었던 기억이다. 1983년에 제작, 개봉된 영화지만 1996년 중학교 1학년 때 KBS에서 방영한 기억이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갈등을 빚은 성.. 2024. 11. 18. 흙운동장놀이2 : 땅따먹기 이번 게임은 땅따먹기이다. 이걸로 검색하면 사방치기가 많이 나오는데 아예 다르다. 일단 큰 네모를 그리고 개인 구역에서 전체를 먼저 먹는 방식이 있고 우리 동네같이 옆 친구와 안 겹치면서 자기 한 뼘을 반지름으로 한 원을 그려 시작하는 방식도 있다. 플레이 도구를 주로 돌멩이로 했는데 병뚜껑을 쓰는 곳도 있다고 한다. 이 게임은 아무 상황에서 바로 시작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 돌멩이가 잘 맞지 않나 싶다. 룰은 간단하다. 자기 턴이 되면 돌을 본진 라인 중 한 곳에 두고 바깥 구역을 향해 손가락으로 알까기 하듯 튕겨 친다. 그다음 한 번 더 치고 세 번째엔 반드시 내 구역으로 들어와야 한다. 이 세 번의 행동은 모두 선을 그리며 진행한다. 세 번째에 무사히 들어오면 선을 그린만큼 땅을 넓히는 게임이다. .. 2024. 11. 17. 흙운동장 놀이 1: 구슬치기(망구, 빠이 등) 오늘은 뭘 포스팅할까 하다가 계속 90년대 초중반 생각이 많이 나서 흙운동장에서 놀던 놀이들을 떠올려볼까 한다. 구슬치기는 지역마다 종류가 워낙 다양할 것 같은데 우리는 망구를 많이 했고 빠이 하는 애들도 가끔 있었다. 일단 구슬은 얘네들을 뜻한다. 투명한 초록 구슬 안에 알 수 없는 무늬가 박혀 있었고 파란 구슬과 사기 구슬도 있었다. 왕구슬과 쇠구슬도 있긴 한데 구슬치기용으로는 예의상 쓰지 않았다. 정확한 가격은 기억이 안 나지만 500원에 10알? 20알까지는 안 갔던 것 같고 왕구슬은 하나에 500원 정도. 우리 동네 망구는 운동장 벤치를 주로 이용하는데 앉는 곳에서 구슬을 놓아 다리부부의 주춧돌이나 철판을 맞고 굴러가면 더 먼 구슬이 선을 잡는다. 내 구슬로 상대 구슬을 맞춘 후 날아가는 거리만.. 2024. 11. 16. 이전 1 2 3 4 5 ··· 26 다음 반응형